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2주 연속 확대…비규제 ‘한강 벨트’ 중심 재상승세

이병훈 기자 / 기사승인 : 2025-09-18 15:32:09
  • -
  • +
  • 인쇄
성동·마포 등 인기 지역 신고가 속출…정부 ‘토허구역 추가 지정’ 가능성 거론

 

[한국건설경제뉴스=이병훈 기자]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2주 연속 확대되며 ‘비규제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이 다시 뛰기 시작했다. 서울시는 강남3구와 용산구에 대해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연장했지만, 성동·마포 등 규제 바깥 ‘한강 벨트’ 지역의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9·7 공급대책 이후 정부의 규제권한이 강화된 가운데, 이들 지역에 대해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또는 규제지역 재편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국부동산원이 18일 발표한 9월 셋째 주(9월 15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2% 상승해 2주 연속 상승폭 확대 흐름을 이어갔다.


이 중에서도 비규제 지역인 ‘한강 벨트’에서의 상승세가 뚜렷하다. 성동구는 0.27%에서 0.41%로 상승폭이 0.14%p 증가했고, 마포구는 0.17%→0.28%(0.11%p↑), 양천구는 0.10%→0.19%(0.09%p↑)로 뛰었다.

실제 마포자이(113㎡)는 26억5000만원, 서울숲리버뷰자이(84㎡)는 25억1000만원에 각각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서울시는 지난 17일 도시계획위원회에서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와 용산구에 대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2025년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외의 인기 지역인 성동·마포구는 추가 규제 논의에서 제외되며 시장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동남권에서는 강남구(0.12%)를 제외한 서초(0.17%)·송파(0.19%)·강동(0.14%)구 모두 상승폭이 확대됐다. 용산구는 상승세가 다소 둔화됐지만(0.14%→0.12%), 여전히 강세 흐름이다.

정부는 지난 9월 주택공급대책을 통해 국토부 장관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직권 지정 권한 확대 입법을 예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비규제 상태인 성동·마포 등 ‘한강 벨트’ 지역이 규제 타깃에 포함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재명 대통령도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투기 수요는 지속적으로 통제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수요억제 기조가 유지될 것임을 시사한 만큼, 시장 개입 가능성은 유효하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