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셔터스톡 |
지난 10월 26일 국토교통부는 주택 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주택 공급 확대와 청약 제도 개편으로 청년층의 청약기회 확대가 기대된다. 지난 10월 27일 제11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는 대출 규제 완화 등 실수요자 보호, 거래 정상화 방안 관련 계획을 논의했다. 신규아파트 중도금 대출 보증이 분양가 9억 이하에서 12억 이하로 확대되고, 청약 당첨자의 기존주택 처분기한이 6개월(기존)에서 2년으로 연장된다. 11월 규제지역 추가 해제 검토도 예고되어 있어 분양시장에 우호적인 정책환경이 조성될 전망이다.
![]() |
▲주)총세대수 30세대 미만 아파트단지,임대아파트단지 제외,사전청약 제외 주)상기 분양실적은 입주자모집공고일 기준(2022년 10월 1일 ~ 2022년 10월31일) 주)분양시장의 물량 변동성으로 인해 실제 분양실적 사업장이 분양예정집계 당시 포함되지 않을 수 있음 |
지난 9월 말에 조사한 10월 분양 예정 단지는 74개 단지, 총 5만9,911세대, 일반분양 4만7,534세대였다. 이를 재조사한 결과 실제 분양이 이루어진 단지는 49개 단지, 총 3만1,134세대(공급실적률 52%), 일반분양 2만8,693세대(공급실적률 60%)가 실제 분양됐다.
![]() |
▲주)분양실적은 입주자모집공고일 기준,총세대수 30세대 미만 아파트단지,임대아파트단지 제외,사전청약 제외 주)상기 분양계획내용은 2022년 11월2일 조사기준으로 공급자사정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2022년 11월에는 69개 단지, 총 세대수 5만2,678세대 중 4만2,096세대가 일반분양을 준비하고 있다. 2021년 동월 물량과 비교해 총세대수는 1만8,264세대(53%증가), 일반분양은 1만1,626세대(38%증가)가 더 분양될 예정이다.
지난 10월 26일 국토교통부는 청년과 서민의 내집마련 기회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공공분양 50만호 공급(`23~`27년)으로 분양물량을 기존(`18~`22년) 14.7만호에서 3배 이상 확대한다. 또한 개인별 여건에 따라 나눔형, 선택형, 일반형으로 3가지 유형의 주거선택권을 다양화했다. 나눔형은 시세 70% 이하로 분양 받고, 환매를 통해 향후 시세차익 70%를 보장하는 유형이다. 선택형은 6년간 살아보고 분양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일반형은 시세 80% 수준으로 분양하는 방식이다. 선택형, 나눔형에는 전용모기지를 신설해 초기 목돈 부담과 이자 부담을 완화한다.
또한 세대별 수요에 맞게 민영주택 청약제도가 개선된다. 투기과열지구 내 1~2인 청년 가구의 수요가 많은 중소형 평형(60m2이하, 60m2초과 ~85m2이하)에 추첨제를 신설해 미혼 청년들의 당첨 기회를 확대하고, 3~4인 중장년층 수요가 많은 대형 평형(85m2초과)에는 가점제를 확대해 청약제도를 세대별 수요에 맞게 개편한다. 올해 하반기부터 유형별 공공분양이 시범단지 사전청약을 통해 조기 공급되는 만큼 청약대기자들에게는 선택의 폭이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 |
▲주)상기 분양내용은 2022년 11월2일 조사기준으로 공급자사정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주)총세대수 30세대 미만 아파트단지,임대아파트단지 제외,사전청약 제외
|
11월 전국에서 공급하는 5만2,678세대 중 2만7,000세대가 수도권에서 분양 준비중이다. 경기도가 1만7,548세대로 가장 많은 공급이 계획되어 있다. 지방에서는 2만5,678세대의 분양이 계획되어 있으며, 경상남도에서 5,127세대로 가장 많은 공급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서울시에서는 6개 단지 7,361세대가 분양을 준비하고 있다. 재개발, 재건축 등 대규모 정비사업 공급이 집중된다. 장위4구역 일대를 재개발하는‘장위자이레디언트’는 GS건설(주)가 시공한다. 서울시 성북구 장위동 62-1번지 일대에 위치한다. 총 2,840세대 중 1,330세대가 일반 분양되며, 전용면적 49~97㎡로 구성되어 있다. 중화1재정비촉진구역을 재개발하는 ‘리버센SKVIEW롯데캐슬’는 SK에코플랜트(주)와 롯데건설(주)가 컨소시엄으로 시공한다. 서울시 중랑구 중화동 331-1번지 일대에 위치하며, 총 1,055세대 중 501세대가 일반분양된다. 전용면적은 39~100㎡로 구성되어 있다. 문정동136일대를 재건축하는 ‘힐스테이트e편한세상문정’는 현대엔지니어링(주)와 DL이앤씨(주)가 컨소시엄으로 시공한다. 서울시 송파구 문정동 136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총 1,265세대 중 296세대가 일반분양된다.
경기도에서는 20개 단지1만7,548세대가 분양을 준비하고 있다. 철산주공8,9단지를 재건축하는 ‘철산자이더헤리티지’는 지에스건설(주)가 시공한다.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235번지 일대에 위치하며, 총 3,804세대 중 1,640세대가 일반분양된다. 전용면적은 59~134㎡로 구성된다. 인창C구역을 재개발하는‘구리역롯데캐슬시그니처’는 (주)롯데건설이 시공한다.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289-29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총 1,180세대 중 679세대가 일반분양된다. 전용면적은 34~101㎡로 구성된다.
인천시에서는 4개 단지 2,091세대가 분양을 준비하고 있다. 지방은 경상남도(5,127세대), 대전시(5,088세대), 경상북도(4,550세대)중심으로 비교적 많은 신규아파트가 공급될 예정이다.
[표1] 2022년11월 분양예정 주요 아파트 (단위:세대수,m2)
![]() |
▲주)상기 분양내용은 2022년 11월2일 조사기준으로 공급자사정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주)총세대수 30세대 미만 아파트단지,임대아파트단지 제외
|
<자료제공>=직방
한국건설경제뉴스 / 박인선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