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상반기까지 주택 살 계획 있다" 64.6%

박인선 기자 / 기사승인 : 2022-06-07 13:43:53
  • -
  • +
  • 인쇄
직방 조사
작년 말 대비 매수 응답 비율 0.5%p 증가
매도도 0.4%p 증가

▲서울 여의도 일대의 전경. / 자료=셔터스톡
새 정부가 들어선 직후 주택시장에 어떤 행태 변화가 나타날지 주목되고 있다.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까지 주택 매입,매도 계획을 알아보기 위해 ㈜직방(대표 안성우)에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총 1,832명이 참여했고 2020년부터 조사한 결과와 비교하여 차이를 비교해봤다.

 

전체 응답자 1,832명 중 64.6%가 올해 하반기 및 내년 상반기 기간 내에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2020년 조사를 시작한 이후 매입 계획이 있다는 응답 비율 감소세가 멈추고 작년 말 조사했던 시점 대비 0.5%p 소폭 상승했다.

 

주1) 각 표시시점부터 1년 기간 동안 매입계획 여부를 물음
주2) ‘20년 상반기(N=4,980) ‘20년 하반기(N=1,982) ‘21년 상반기(N=3,087) ‘21년 하반기(N=2,292) 
‘22년 상반기(N=2,042) ‘22년 하반기(N=1,832)
주3)광역시:지방5대광역시

거주지역별로는 경기(66.5%) >지방(65.6%) >인천(64.2%) >서울(62.2%) >지방5대광역시(62.0%) 순으로 매입 의사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작년 말 조사와 비교해 서울(5.0%p)과 인천(2.1%p) 거주자의 주택 매입 의사가 있다는 응답 비율이 증가했다. 경기는 동일한 수치를 보였고, 지방 5대광역시와 지방은 작년말 조사보다 매입하겠다는 응답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지방,광역시보다는 수도권에 매수 기대 심리가 더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67.9%) > 50대(67.4%) > 30대(64.0%) > 40대(62.6%) > 20대 이하(52.9%) 순으로 주택 매입 의사가 있다는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작년 말 조사와 비교한 결과, 20대 이하(1.2%p)와 50대(2.6%p), 60대 이상(2.9%p)에서 매입 의사가 있다는 응답 비율이 소폭 증가했다.

주1) 각 표시시점부터 1년 기간 동안 매입계획 여부를 물음
주2) ‘22년 상반기(N=2,042) ‘22년 하반기(N=1,832)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주택 매입을 계획하는 이유는 중 1위는 ‘전,월세에서 자가로 내집마련’(43.1%)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 이유로는 △거주 지역 이동(19.2%) △면적 확대,축소 이동(16.5%) △본인 외 가족 거주(6.7%) △시세 차익 등 투자 목적(6.3%) 등 순으로 응답됐다.

[그림3] 주택 매입 계획 이유

반면 주택 매입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649명에게 이유를 물은 결과, ‘주택 가격이 너무 비싸서’(29.6%)가 가장 많았다. 이어 △향후 가격이 하락할 것 같아서(27.0%) △거주,보유 주택있고 추가 매입 의사 없어서(17.9%) 응답이 많았다. △새 정부 부동산 정책 변화를 지켜보려고(8.6%)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부담이 커져서(7.9%)란 응답도 8%대 전후로 나타났다.

 

 

[그림4] 주택 매입 계획 없는 이유

 


2022년 하반기 및 내년 상반기까지 주택 매도 계획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중, 41.8%가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58.2%는 매도 의사가 없다고 답했다.매도 의사 역시 작년 말 조사 당시 매도 의사가 있다고 답한 응답자보다 0.4%p 증가했다.

2022년 하반기 및 내년 상반기에 주택 매도 의사가 있다고 답한 응답자 연령별로는 60대 이상(57.8%) > 50대(46.0%) > 40대(42.5%) > 30대(29.2%) > 20대 이하(24.3%) 순으로 나타났다. 작년 말에 조사한 결과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20대 이하(6.5%p), 30대(2.1%p)에서 매도하겠다는 응답비율이 높아졌다.

[그림5] 주택 매도 계획 유무(좌)주택 매도 계획 유무(우) – 연령별
주1) 각 표시시점부터 1년 기간 동안 매도계획 여부를 물음
주2) ‘20년 하반기(N=1,982) ‘21년 상반기(N=3,087) ‘21년 하반기(N=2,292)
‘22년 상반기(N=2,042) ‘22년 하반기(N=1,832)

거주지역별로 2022년 하반기 및 내년 상반기에 주택 매도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응답은 인천(49.0%) >광역시(44.9%) >경기(44.1%) >지방(40.1%) >서울(35.8%) 순으로 많았다. 지방 거주자군은 작년 말 조사 당시에는 매도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절반 이상이었으나올해 조사한 현재는10%p 이상 줄어 오히려 매도 계획이 없다는 응답 비율이 과반수가 됐다.반면 인천(7.8%p)과 광역시(6.2%p)는 매도 의사가 늘었고 서울(1.7%p)과 경기(1.9%p)도 매도 응답 비율이 늘었지만 작년 결과와 수치 차이는 미미했다.

[그림6] 주택 매도 계획 유무 – 거주지역별
주1) 각 표시시점부터 1년 기간 동안 매도계획 여부를 물음
주2) ‘22년 상반기(N=2,042) ‘22년 하반기(N=1,832)
주3) 광역시:지방5대광역시

2022년 하반기 및 내년 상반기에 주택을 매도할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거주 지역 이동하기 위해’가 29.9%로 가장 많았다. 이어 △면적 확대,축소 이동하기 위해(26.2%) △차익실현,투자처 변경으로 인한 갈아타기(19.1%)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적 유예로 인한 절세 목적 처분(13.6%) 순으로 나타났다. 작년 말 조사와 비교한 결과,지역 이동이나 면적 이동 등의 실거주 목적 이유는 줄고 상대적으로 차익실현, 투자처 변경, 양도세 중과 한시적 유예로 인한 절세 목적 등의 이유가 상대적으로 증가해 눈에 띈다.

[그림7] 주택 매도 계획 이유
주1) 각 표시시점부터 1년 기간 동안 매도 계획 이유를 물음
주2) ‘22년 상반기(N=846) ‘22년 하반기(N=766)

주택 매도 계획이 없는 이유는 ‘실거주(1가구 1주택)나 주택 보유하고 있지 않아서’가 56.8%로 가장 많았고 △적절한 매도 타이밍을 지켜보려고(15.6%) △새 정부 부동산 정책 변화를 지켜보려고(11.7%) △투자 목적 계속 보유(9.8%) △종부세,재산세 등 세금 완화 기대(5.0%)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8] 주택 매도 계획 없는 이유

설문 조사 결과,작년 말 조사보다 주택을 매입,매도하겠다는 응답이 모두 소폭 증가했다.매수세는 여전히 실거주 및 이동 등 이유가 많은 가운데 수도권 거주자의 매입 계획이 있다는 응답 비율이 더 높아진 것이 눈에 띈다.

매도 이유는 지역 및 면적 등 이동 외에차익실현, 투자처 변경으로 갈아타거나 5월 10일부터 1년간 적용되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적 유예로 인한 절세 목적 처분 이유가 작년보다 증가했다.

최근 금리가 계속 인상되면서 대출 규제에 대한 이자 부담도 커져 주택 매도나 매물 정리를하려는 움직임도 있을 전망이다.단,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 방향에 따라서 매수, 매도자들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응답자 기초 현황]
                                                                  
<자료제공> - 직방

<설문조사 개요>

조사기간: 2022년 5월 16일~5월 30일 (15일)

방법 및 대상 :직방 어플리케이션 내 접속자 대상,모바일 설문으로 진행

응답인원 :1,832명

표본오차 :신뢰수준 95% ± 2.29%p

(주의) 본 결과는 직방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기준 통계이며 국민 대표성 결과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음. 수치 해석에 주의요.

 

한국건설경제뉴스 / 박인선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인선 기자 박인선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