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관리처 신설·상벌체계 강화…건설혁신방안 꺼낸 LH

이보미 기자 / 기사승인 : 2024-01-22 10:27:32
  • -
  • +
  • 인쇄
부실시공방지 위해 스마트건설처도 신설
입찰 시 구조 부실 유발업체는 실격 처리
▲LH 공공건설혁신 이행과제. 그래픽=LH 제공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공주택 품질을 높이기 위해 관리처를 새로 신설하고, 공정한 평가 등에 대한 상벌체계를 강화하는 건설혁신방안을 발표하고, 자체 개혁의지를 재차 피력했다. 

 

LH는 이한준 사장이 지난 15일 인천계양·검단 건설현장, 19일 화성 임대주택 건설현장을 찾아 주택품질확보 의지를 다지며 자체적으로 수립한 건설혁신방안 과제에 대한 지속적인 이행을 강조했다고 22일 밝혔다.

 

LH 건설혁신방안은 크게 ▲품질관리 ▲기술책임 ▲건설풍토 ▲인적자원 ▲디지털 건설이라는 5개 부문을 중심으로 44개 혁신 과제를 담고 있다.

 

우선 LH는 현장 중심의 품질검수 시스템 강화를 위해 발주기관으로서 책임을 높이고 현장 중심 원스톱 품질 검수를 위해 본사에 '품질관리처'를 지역본부에는 '품질전담부서'를 신설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품질시험 점검관리 및 레미콘 등 주요 자재의 품질시험, 공장 검수를 상시 수행하고 현장을 직접 관리하는 한편, 현재 서류·마감 위주의 준공검사도 비파괴 구조검사와 안전점검보고서를 교차 확인하고, 정기 안전점검도 기존 3회에서 5회로 확대해 구조안전을 강화한다.

 

아울러 부실시공 문제를 없애고 주택 품질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건설처'를 신설해 건설산업 디지털화도 본격 추진한다.

 

LH는 정부의 스마트 건설기술 확산 기조에 발맞춰 스마트건설 시장 성장을 촉진하고, 노동집약적인 기존 생산방식을 기술집약 방식으로 바꿔 안전과 품질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3차원의 가상공간에다 설계, 시공에 필요한 정보를 입체적으로 구현하는 건설정보모델링(BIM) 기반 통합 플랫폼을 2025년까지 구축하고 시공과정을 수기로 기록 관리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_를 활용해 전국 건설현장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스마트 통합관제 시스템도 운영한다.

 

또, 설계도면과 영상기록 등은 공개해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시공 과정을 기록하기 위해 시공과정 기록서버도 구축한다.

 

기존 재래식 공법에서 발생하는 시공 오류를 줄이고 자재 품질을 높이기 위해 탈현장 시공 공법인 PC공법, 모듈러공법 등의 OSC 공법을 확대 적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꼐 철근이 포함된 부재 자체를 공장에서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하는 것으로 공정을 표준화해 현장에서의 오류발생을 방지할 방침이다. 

 

공정한 평가와 평가에 대한 상벌강화로 책임건설 체계도 마련한다.

 

중대한 구조적 부실 유발업체는 입찰시 실격 처리하고 입찰 시 시공평가 배점 차등을 확대해 우수업체와 불량업체 간 변별력을 높일 예정이다. 아울러 LH 퇴직자가 소속된 업체에게는 용역 심사에서 최대 감점을 부과해 건설사업 수주를 원천 배제한다.

 

이한준 LH사장은 "국민 안전이라는 기본가치 아래 부실시공을 없애고 고품질 주택을 건설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나아가, 스마트기술 확대, 생산방식의 점진적 변화 등 건설업 혁신에 앞장서 건설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보미 기자 이보미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