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입 기준 개선해 차질 없이 공급할 것"
![]() |
▲국토교통부 전경. 사진=국토부 제공 |
지난해 매임임대주택 실적이 매입단가 기준 강화 이후 목표치의 23%에 그치는 등 저조하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정부가 사업 정상화 의지를 내비췄다.
국토부는 20일 설명 자료를 통해, 공공 매입단가를 현실화하고, 매입기준 등도 개선해 매입물량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국내 언론들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맹성규 더불어민주당소속 맹성규 의원이 내놓은 자료를 통해 지난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 매입임대주택 실적이 4610가구로 연간 목표치인 2만476의 23%에 그쳤다고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실적 저조 원인으로는 LH가 매입임대사업의 일환으로 서울 강북구 '칸타빌 수유팰리스'를 사들이는 과정에서 발상핸 '고가 매입' 논란에 따라 규정을 기존에 지어진 주택을 매입임대로 사들일 때 표준 건축비를 적용해 ‘원가 이하’에 구입하도록 바꾼 점이 지목됐다.
국토부 측은 "LH가 매입임대 사업 정상화를 위해 가격체계 개선 등 제도개선을 준비하고 있다"며 "올해 공급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각종 혜택을 확대하고, 관련 규제를 개선하는 등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