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내 1만호 신축주택 공급 기대
![]() |
▲자료=국토부 제공 |
서울 마포구 아현동과 영등포구 도림동, 종로구 연거동 일대 등 8곳이 새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됐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작년 말부터 올해 2월까지 합동으로 공공재개발 후보지 2차 공모를 진행한 결과 이들을 신규 후보지로 선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들 후보지가 개발되면 1만호 규모의 주택이 신축된다.
구체적으로 최종 선정된 후보지 8곳은 ▲마포구 아현동 699 일대 ▲영등포구 도림동 26-21 일대 ▲종로구 연건동 305 일대 ▲중랑구 면목동 527 일대 ▲은평구 응암동 101번지 일대 ▲양천구 신월5동 77 일대 ▲구로구 구로동 252 일대 ▲금천구 시흥4동 4번지 일대 등이다.
이들은 모두 주민 30% 이상의 동의를 거쳐 공모에 참여한 노후지다. 노후도와 접도율, 호수밀도 등 서울시 정비구역 지정요건을 충족해 '국토부·서울시 합동 공공재개발 후보지 선정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했다.
공공재개발은 법정 상한 용적률의 120%까지 인센티브를 주는 대신 늘어나는 용적률의 20∼50%는 공공임대주택 등으로 기부채납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지 않고 인허가 절차 간소화와 사업비와 이주비 융자 등 각종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
▲공공재개발 후보지 2곳 위치도. 사진=국토부 제공 |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는 앞으로 이들 후보지 주민을 대상으로 현장 설명회를 열어 개략적인 정비계획과 사업성 분석 결과를 설명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한편 정비구역 지정 등 후속 조치를 신속히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주민 갈등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후보지에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도 파견할 예정이다.
이번에 선정된 곳 외에 도봉구 창3동과 서대문구 홍제동 2곳은 사업방식과 구역계에 대해 추가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돼 지자체 협의와 주민 의견수렴 후 소의원회를 통해 선정 여부를 재논의하기로 하고 보류됐다.
국토부와 서울시는 이번에 후보지에 선정된 곳뿐 아니라 미선정된 구역에 대해서도 지분쪼개기, 갭투자, 비경제적 건축행위(신축행위) 및 분양사기 등의 방지를 위해 투기방지 조치도 공조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조합원이 분양받을 권리의 산정기준일을 공모 공고일을 2021년 12월30일로 고시할 예정이다. 미선정된 구역은 향후 재개발 공모를 통해 후보지로 선정되면 일괄적으로 2022년 1월28일을 권리 산정기준일로 고시한다. 토지거래허가 및 건축허가제한은 선정·미선정 구역 동일하게 추진된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