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셔터스톡> |
높은 금리로 인해 전국 부동산 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올해 1분기 전국 땅값이 분기별 기준 12년 6개월만에 하락전환했으며 토지거래량도 직전분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올해 1분기 전국 지가 상승률이 0.91%를 기록해 지난해 4분기(1.03%) 대비 0.12%p, 1분기(0.96%) 대비 0.05%p 감소했다고 26일 밝혔다.
작년 4분기 0.04%에 비해 0.09%p 하락했고 작년 1분기 0.91%와 비교하면 0.96%p 떨어졌다.
분기별 땅값이 하락한 것은 지난 2010년 3분기(-0.05%) 이후 12년 6개월만이다.
수도권은 전 분기 0.0%에서 0.06%로 하락 전환했고 비수도권 역시 0.12% 상승에서 0.03%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시도별로 보면 대구(-0.13%), 서울(-0.12%), 울산(-0.10%) 등도 지가 변동률이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강원도의 땅값은 0.06% 오르면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충남과 경남이 0.04%, 경기와 충북이 0.01% 각각 올랐다. 제주의 지가변동률은 -0.29%로 전국 평균(-0.05%)보다 가장 낮았다.
월 기준으로 보면 올해 3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01%를 기록, 작년 11월 -0.01%로 하락 전환한 이후 5개월 만에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 |
▲2023년 1분기 지가변동률 <자료제공=국토교통부> |
땅값 하락과 함께 거래량도 감소했다.
올해 1분기 건축물 부속토지를 포함한 전체 토지 거래량은 약 43만2387 필지(340.5㎢)로 전 분기에 비해 5.8% 줄었고, 작년 1분기보다는 30.1% 감소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 역시 약 18만4920 필지(318.6㎡)로 전 분기와 작년 1분기에 비해 각각 17.9%, 29.9% 줄었다.
![]() |
▲2023년 1분기 전체토지 및 순수 토지 거래량 추이 <자료제공=국토교통부> |
전 분기와 비교해 전체 토지 거래량은 서울(27.2%), 대전(16.1%), 세종(4.1%), 전남(0.1%) 등 4개 시도에서 증가했고, 나머지 13개 시도는 모두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전남(1.8%)을 제외하고 16개 시도에서 줄었으며 특히 광주(-52.3%), 대전(-37.1%), 부산(-35.8%), 제주(-33.6%), 서울(-32.4%) 등에서 감소 폭이 컸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박인선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