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월세 60만 원 이상인 대학가 지난해 2곳에서 올해 6곳으로 늘어
![]() |
▲서울 가을철 이화여대의 도시경관<사진=셔터스톡> |
서울 주요 대학가 보증금 1000만 원 기준의 원룸(전용면적 33㎡ 이하) 평균 월세가 1년 전보다 15.1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최대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을 운영하는 스테이션3는 지난 3월 서울 주요 대학가 인근 지역의 월세를 분석한 결과 보증금 1000만 원 기준 원룸(전용면적 33㎡ 이하)의 평균 월세가 59.6만 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동월 51.7만 원 대비 15.14% 상승한 수치다.
원룸 평균 월세가 60만 원 이상인 대학가는 지난해 3월 기준 2곳(서강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인근)에서 올해 동 월 6곳으로 늘었다. 이 중 이화여자대학교 인근 지역의 평균 월세가 83.5만 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연세대학교 인근(평균 월세 69.5만 원), 중앙대학교와 한양대학교 인근(평균 월세 각각 65.5만 원), 고려대학교와 서강대학교 인근(평균 월세 각각 62만 원)이 뒤를 이었다.
상승률로 보면 지난해 대비 같은 기간 30% 이상 상승한 대학가는 중앙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 인근 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중앙대학교 인근 지역의 평균 월세는 45.3만 원에서 65.5만 원으로 44.59% 상승해 가장 높은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인근 지역의 평균 월세는 60.2만 원에서 83.5만 원으로 38.81%, 한양대학교 인근 지역의 평균 월세는 48.5만 원에서 65.5만 원으로 35.15% 올랐다.
그외 한국외국어대학교(서울캠퍼스) 인근 지역의 경우 48.1만 원에서 48.5만 원으로 0.78% 소폭 상승했으며, 경희대학교(서울캠퍼스) 인근 지역의 경우도 52.6만 원에서 56.5만 원으로 7.52% 상승했다. 이에 반해 같은 기간 성균관대학교 인근 지역의 평균 월세의 경우 50.5만 원에서 39.5만 원으로 21.78%, 서울대학교 인근 지역의 원룸 평균 월세는 46.6만에서 43만 원으로 7.72% 하락했다.
다방의 마케팅실 장준혁 실장은 "고금리 기조와 경기침체 우려 속에 전세대출 금리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기존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기도 하는 등 전세 거래가 줄어들고 있다"라며 "월세의 경우 금리처럼 변동하지 않고 계약에 따라 정해진 금액을 지불해 금전 계획 수립에 더 안정적이어서 선호도가 점차 높아지는 추세"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자료는 국내 최대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에 등록된 서울 지역 매물 6만 3천여 건 중 월세 매물이 많은 주요 대학가의 원룸 월세를 분석한 자료다. 스테이션3는 다방 앱을 통해 전세, 월세, 매매 등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부동산 시세 자료를 공개하고 있다.
![]() |
▲<자료제공=다방> |
한국건설경제뉴스 / 박인선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