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적률·건폐율 완화혜택 등 건축기준 마련
![]() |
▲스마트+빌딩 생태계. 사진=국토부 제공 |
오는 2035년까지 전국에 스마트기술과 모빌리티 친화 인프라를 접목한 '스마트+빌딩' 1만곳이 건설된다.
국토교통부는 19일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 융합혁신을 통한 국민의 스마트행복 구현과 국가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공간 분야 혁신 정책으로 이런 내용을 담은 '스마트+빌딩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한다고 20일 밝혔다.
국토부는 원희룡 장관과 하헌구 인하대 교수를 공동위원장으로 지난 2월부터 산·학·연 65개 기관이 참여하는 얼라언스 운영을 통해 건축물에 스마트기술을 더한 '스마트+빌딩 활성화 로드맵'을 마련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 스마트물류 등 모빌리티 시대에 맞춰 건축물이 모빌리티 친화 인프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건축기준 마련과 함께 용적률·건폐율 완화 혜택 부여를 추진한다.
지속 발전하는 기술 변화에 대응해 건축설계·시공·유지관리 기술도 고도화하고, 다양한 기술을 통합관리하는 건축물 플랫폼 개발도 추진한다. 특히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 중 28개 기관들과 함게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가천길병원, 고양시-서대문구 청사에 대한 스마트+빌딩 적용 공동연구 MOU를 체결하고 실제 구현방안에 대해 모색할 계획이다.
로드맵 발표 이후에는 스타트업(새싹기업)과 청년이 함께 하는 스마트+빌딩 혁신 라운드 테이블이 이어졌다. 이 자리에서는 대학생이 제안하는 '스마트+빌딩 조설 아이디어'와 스타트업이 제안하는 '스마트+빌딩 산업 생태계 구축 방안'에 대해 논의를 진행했다. 국토부는 이를 토대로 청년 고급 일자리 창출 등 건축산업 혁신을 추진할 나갈 계획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국민들이 일상 공간에서 UAM, 자율주행, 로봇 등 4차 산업혁명이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친모빌리티, 친물류, 친환경 스마트+빌딩의 확산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