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추진일정 맞춰 단계적 대응…내년 완료 목표
![]() |
▲서울 시내 국가철도 지상구간 현황(총 71.6km). 사진=서울시 제공 |
도시 미관을 해치고 지역단절로 인한 활력 저해 요인으로 꼽히던 지상철도 구간 지하화 사업 관련 특별법이 제정됨에 따라 서울시가 선제적인 준비작업에 착수했다.
서울시는 정부의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에 맞춰 지상철도 상부에 대한 도시공간구상 및 개발방안을 수립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기본구상 용역을 내달 중 발주한다고 26일 밝혔다.
철도지하화 특별법은 먼저 지상의 철도를 지하화하고, 이렇게 확보된 지상 철도 부지와 그 주변을 국유재산 출자 등을 통해 개발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올해 1월 30일 제정돼 내년 1월 31일부터 시행을 앞두고 있다.
앞으로 국토부에서 중장기계획인 '철도지하화통합개발에 관한 종합계획'을 수립하면, 그에 따라 서울시가 노선별로 '철도지하화통합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한 뒤 사업시행에 들어갈 전망이다.
시는 용역을 통한 구상안을 국토부에 제안하는 등 국토부가 수립하는 종합계획에 서울시 여건이 반영될 수 있도록 철도 지하화 실현방안을 발 빠르게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서울 시내 국가철도 지상구간은 총 71.6km로, 지상철도는 크게 ▴역사(정거장) ▴주변지역과 비슷하거나 더 낮게 형성된 선로 구간 ▴고가 및 철교 등의 형태로 구성돼 있다.
시는 국토부의 철도지하화 추진 일정에 맞춰 단계별로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국토부는 내년까지 철도지하화통합개발에 관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연말에 철도지하화 선도사업을 선정하기 위해 오는 9월 지자체로부터 제안을 받을 계획이다.
서울시는 내년까지 서울시 도시계획 체계 및 공간구조에 따른 전체 지상철도 및 주변지역 상부에 대한 개발구상을 수립하고, 지하화 및 데크화 등 유형별 입체 복합화 방안 마련, 노선별로 사업성 검토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사업추진이 필요한 구간에 대해선 국토부 선도사업으로 제안해 종합계획 수립 이전에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할 예정이다. 또 지상철도 구간이 포함된 15개 자치구를 포함한 태스크 포스(TF)를 구성하는 한편, 추진 과정에 있어 지역주민, 이해관계자 등의 의견을 충분히 경청해 여론을 수렴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경의선 숲길, 프랑스 파리 리브고슈 등 지상철도 지하화 및 상부공간을 개발.활용하고 있는 국내외 사례를 참고해 지역과 부지 특성에 맞게 '미래형 거점공간'과 '시민들을 위한 열린 공간'을 적절하게 구성해 서울의 새로운 전략 공간으로 재편해 나갈 예정이다.
경의선 철도를 지하화 후 기존 선로구간을 선형공원으로 조성한 경의선 숲길과, 철도부지를 데크화해 전략공간으로 조성한 프랑스 파리 리브고슈, 두 사례에서는 새롭게 도시의 활력을 살리고 고용창출, 도시공간 개선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게 시 측의 설명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철도 지하화는 서울 내에서 이뤄졌던 그간의 도시개발.도시정비 사업과는 또 다른 도시공간의 대대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지상철도 지하화를 위한 발 빠른 대응과 서울의 도시 대개조를 통해 도시경쟁력 향상, 지역발전, 시민을 위한 공간 확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