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업 지역 육성…주거용 건축 허용·용적률 인센티브도
![]() |
▲용산전자상가 조감도. 사진=서울시 제공 |
서울 용산전자상가가 용산정비창에 조성되는 국제업무지구와 연계해 인공지능(AI)·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신사업 중심지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1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용산국제업무지구-용산전자상가 일대 연계전략 마련'에 대한 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이 일대를 소프트웨어, 디지털 콘텐츠 등 AI와 ICT 기반의 혁신지역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용산전자상가는 1985년 용산 양곡도매시장 이전에 따라, 당시 전기·전자 업종을 육성하겠단 정부 정책의 하나로 조성된 곳이다. 1990년대에는 개인용 컴퓨터(PC) 보급 확산으로 호황기를 맞았으나, 2000년대 들어 모바일 기기와 온라인 쇼핑 유행 등 산업 트렌드가 변화하고 시설 노후화로 상권 활력이 크게 떨어졌다.
서울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21년 용산 정비창 부지와 용산전자상가를 연계해 개발하는 방안 마련에 대한 용역을 발주했고, 지난해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구상 발표와 함께 각종 계획의 지침이 되는 최상위 공간계획인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올해 초 확정하면서 용산 전자상가 일대에 대한 새로운 비전과 구체적 실행계획을 이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
시는 용산전자상가 일대에 대한 미래비전을 AI·ICT 기반 디지털 메타버스 신사업 혁신지인 '메타밸리(Meta-Valley)'로 설정하고, ▲신산업 혁신·창업 공간 구축 ▲열린 녹지네트워크 조성 ▲도심형 복합주거 공급 ▲용적률 인센티브 제공 등 세부 핵심전략을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신산업용도를 연면적의 30% 이상 의무 도입하고, 대신 이에 상응하는 도시계획시설 폐지에 따른 공공기여 중 30%를 완화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전자상가 일대 공공기여 기준은 평균 27%에서 18%로 완화된다. 의무기준을 초과하는 신사업 용도가 도입될 경우 추가적인 용적률 인센티브도 제공할 방침이다.
또 그간 저이용 됐던 유수지 상부를 공원화해 공공녹지 공간을 확보하고, 공개공지와 건축물 저층부 입체 녹지 조성 유도를 위한 용적률 인센티브를 제공해 용산전자상가 일대를 국제업무지구와 용산역과 연결된 녹지율 50% 이상의 녹지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건축물 간에는 입체적 보행통로로 연결하고, 국제업무지구와 전자상가, 나진상가와 용산역 간에는 보행데크 및 보행통로로 연결해 연계성도 강화한다.
직주혼합 실현을 위해 도심형 복합주거도 공급한다. 시는 이 일대를 미래형 도심주거지역으로 조성하기 위해 주거용 건축을 허용(용적률의 50% 이하)하되, 주거시설 중 일정부분은 중소형 평형 위주로 구성하고, 일정부분은 창업지원주택 등으로 특별공급할 예정이다.
용산전자상가 일대를 창의적인 친환경 도시로 조성하기 위해 용적률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시 창의혁신디자인 가이드라인과 제로에너지빌딩(ZEB) 등 에너지 관련 친환경 기준을 준수할 경우 1000% 이상의 건축도 가능해진다.
아울러 청파로를 중심으로 건축물의 높이를 120m·100m 로 관리하되 디자인 특화, 개방형 녹지 확보 등을 확보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통해 기준높이를 유연하게 완화할 방침이다. 시는 신속한 사업 실현을 지원하기 위해 연계 전략에 부합하는 주민 제안이 있으면 바로 지구단위계획에 반영하기로 했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용산전자상가는 과거 전기·전자 중심의 용산전자상가 쇠퇴 등으로 주변지역이 침체됐으나 대통령실 이전, 용산정비창 개발계획, 용산공원 개방 등의 여건 변화로 성장 잠재력이 충분한 지역"이라며 "이번 계획으로 용산전자상가 일대가 서울의 도시경쟁력을 제고하는 미래 혁신지역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