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신동 23·숭인 56 일대, 구릉지 특화 주거단지로 탈바꿈

이보미 기자 / 기사승인 : 2024-08-01 09:33:41
  • -
  • +
  • 인쇄
서울시, 도계위 수권분과소위 결과
단절된 창인-숭신지역 연계성 강화
▲창신동 23·숭인 56 일대 주택정비형 재개발 정비구역 조감도. 사진=서울시 제공 

 

[한국건설경제뉴스=이보미 기자] 서울 종로구 창신동 23번지 일대와 숭인동 56번지 일대 낙후된 노후 주거지가 저층과 자연환경이 어우러진 구릉지 특화 단지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전날 제7차 도시계획위원회 수권분과소위원회를 열고 '창신동 23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안과 '숭인동 56일대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안'을 수정가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들 일대는 한양 도성과 낙산 언덕으로 삼면이 둘러싸인 구릉지형으로 가파른 언덕 입지로 인해 교통과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한 지역이다. 2007년부터 재정비촉지사업(뉴타운)이 추진됐지만 2013년 촉진지구 지정 해제됐고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됐다가 2021년 신속통합기획 후보지로 선정되면서 정비사업이 본격적으로 재추진됐다.

 

이번에 정비구역 지정과 정비계획이 결정됨에 열악한 주거지를 물리적으로 개선해  쾌적하고 편리한 주거환경을 누리는 한편, 구릉지에 특화된 주거지 선도모델로 추진할 방침이다. 

 

창신역 일대는 공공시설과 연도형 상가(도로를 따라 배치된 상가)를 조성해 해당 지역 개발로 지역주민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지역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지역을 위한 기반시설로는 도로, 공원, 주차장, 사회복지시설 등이 결정됐으며, 창신역에서 채석장전망대(서쪽)와 숭인근린공원(동쪽)까지 연결하는 입체보행로를 조성해 인근 지하철역과의 보행 접근성을 높였다. 

 

그간 단절된 창신-숭인 지역 연계성을 강화하고 어르신·어린이 등 보행약자의 이동 편의성 향상을 위해 단지 내 에스컬레이터·엘리베이터·경사로 등 수직 동선도 충분히 마련해 경사진 구릉지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한병용 주택실장은 "창신·숭인동 일대는 그간 정비사업의 추진과 중단이 반복되며 열악한 주거환경이 개선되지 못했던 지역으로, 이번 정비구역 지정을 통해 오랫동안 낙후됐던 창신·숭인동 일대가 도심부 주거지의 선도모델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보미 기자 이보미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