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공사 무인화·자동화 위한 초석 다질 것"
![]() |
▲스마트건설기술 예시 이미지. 사진=국토부 제공 |
정부가 건설기계 자율화 기술 가운데 하나인 머신가이던스(MG)와 머신컨트롤(MC)의 표준적인 시공기술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국내 건설공사 무인화·자동화를 위한 초석을 다지겠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머신 가이던스와 머신 컨트롤의 건설현장 도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표준시방서를 이달 19일 고시할 예정이라고 17일 밝혔다.
이들 기술은 현재 국내 기술개발이 상당 부분 진행돼 일부 현장에서 굴삭작업 시 활용하고 있는 스마트건설 기술이다. 관련 연구 결과 MG 적용 시 공사투입인력 감소, 기존 대비 약 25%의 공사시간 절약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그간 관련 시공기준이 없어 공사의 신뢰성을 홥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 나와 현장도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국가건설기준센터(한국건설기술연구원)와 시공관리·건설기계 전문가들과 함게 표준비방서를 만들었다는 게 국토부 측의 설명이다.
이번 제정안의 주요 내용은 ▲MG와 MC 기술 용어 정의 및 범위설정 ▲구성 장비의 최소 성능요구사항 및 장비교정 관련사항 ▲MG/MC 기술 적용시 사전확인·제출물·시공검사기준 등 시공단계에서 주체별로 준수하여야 할 사항 등에 대한 규정이다.
국토부는 앞으로 다양한 건설기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MG/MC 시공기준을 고도화하고 시설물별 시공기준 또한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 스마트건설기술이 현장에 도입될 수 있도록 관련 기준 정비를 계속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상일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건설 기준은 현장의 기술 수준과 수요에 발맞춰 나아가야 할 것"이라며 "이번 MG·MC 기술을 시작으로, 건설자동화 기술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