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양재 공공주택지구' 위치도 / LH 제공 | 
[한국건설경제뉴스=최대식 기자] 도심 유휴부지인 서초구 우면동 옛 한국교육개발원 부지(약 6만㎡)가 공공주택으로 전환된다. 정부 9·7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도심 유휴부지 활용’ 트랙이 현실화되는 첫 사례로, 강남권 인근 공급 확대에 속도가 붙는다.
LH가 ‘서울양재 공공주택지구’ 지정을 제안했고, 700가구(수용 약 1260명)와 공원·생활SOC를 포함해 2028년 상반기 공급을 목표로 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서초구 우면동 옛 한국교육개발원 부지를 활용한 ‘서울양재 공공주택지구’ 지정을 관계기관에 제안했다고 30일 밝혔다. 대상지는 2017년 교육개발원 충북혁신도시 이전 이후 비어 있던 약 6만㎡ 규모로, 정부의 9·7 대책에 따른 도심 내 공공주택 공급 확대의 시험대가 된다. 
한국교육개발원 부지는 지하철 양재역(3호선)·양재시민의숲역(신분당선)과 가깝고, 경부고속도로·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연계로 광역 이동성도 높다. 인근 우면산 녹지축과 연계한 공원·보행축 조성으로 생활 동선 개선이 기대된다. 
해당 지구에는 약 700가구, 수용 1260명 규모의 공공주택과 주민편의시설이 들어선다. LH는 인허가 기간 단축을 통해 2028년 상반기 공급을 목표로 한다. 정부는 9·7 대책에서 서울 내 국공유지·유휴부지 4곳을 개발해 2030년까지 4천가구 착공 계획을 제시했다. 양재 부지는 그 초기 실행 사례다. 
9·7 주택공급 확대방안은 수도권 공급 속도 제고와 공공택지 직접 시행(LH)을 축으로 한다. 유휴 국공유지의 공공주택 전환을 통해 강남권 인근에서 청년·신혼부부 등 실수요자의 도심 접근성을 높이는 효과가 기대된다. 다만 교통·환경영향평가, 학교 배정, 단계별 이주계획 등 지역 수용성 과제 관리가 성패를 가를 전망이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