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상가 분양, 지방의 3배 달해

박인선 기자 / 기사승인 : 2022-07-05 21:33:09
  • -
  • +
  • 인쇄
2017~2021년 분양 상가 10개 중 7개, 수도권 공급
수도권은 근린상가
지방은 단지내상가 분양 많아

▲상가 이미지 <자료=셔터스톡>

 

전국에서 분양된 상가 10개 중 7개는 수도권의 물량으로 조사됐다.

 

부동산R114의 상업용 부동산 분석 솔루션 'RCS(Real estate Commercial Solution)'에서 제공하는 상가 분양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2017~2021년) 전국에서 연평균 3만296개의 상가가 분양됐다. 권역별로 수도권의 연평균 상가 분양물량은 2만2,569개(74.5%)로, 지방 7,727개(25.5%) 대비 3배가량 많았다. 인구 및 업무시설이 밀집한 수도권에 상가 쏠림이 나타나면서 지방과의 생활편의시설 격차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제공=부동산R114>

 

상가 분양은 아파트 및 근린 생활권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2017~2021년까지 5년간 상가 유형별 분양물량은 △근린상가 53,418개(35.3%) △주상복합상가 35,168개(23.2%) △단지내상가 27,936개(18.4%) △오피스상가 12,799개(8.4%) △지식산업센터상가 11,251개(7.4%) △복합쇼핑몰 6,648개(4.4%) △기타상가 4,260개(2.8%) 순으로 집계됐다. 

 

▲<자료제공=부동산R114>

 

권역별로 분양상가의 유형은 차이를 나타냈다. 신도시 및 택지지구가 많은 수도권에서는 근린상가의 분양 비중이 37.3%(전체 11만2,843개 중 4만2,040개)로 가장 높았다. 서울 마곡지구를 비롯해 경기 화성 · 시흥 · 남양주 · 평택 · 하남, 인천 서구 · 중구 등에서 근린상가의 분양이 많았다. 반면 지방은 단지내상가의 분양 비중이 31.7%(전체 3만8,637개 중 1만2,251개)로 가장 컸다. 부산, 대구, 경남, 충남 등 최근 5년간 아파트 분양이 많았던 지역 위주로 단지내상가 공급 비중이 높았다. 

 

수도권에서는 택지지구 내 근린상가를 통한 상가 공급이 많았다. 1,2기 신도시에 이어 3기 신도시가 조성되면서 주거 생활권을 중심으로 한 근린상가의 분양도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신도시에서 분양하는 근린상가 투자는 신중해야 한다. 아파트 입주 후 상권이 형성되려면 통상 5년 이상 걸리고, 이 기간 중에는 안정적인 월세 수익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구도심에 비하면 교통 여건이 좋지 않은 경우가 있어 유동인구를 흡수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주거 배후수요가 얼마나 두터운지, 스타벅스 같은 ‘키 테넌트(key tenant) 점포’가 입점해 있는지 여부 등을 꼼꼼히 따져본 후 투자할 필요가 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박인선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인선 기자 박인선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