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에너지원 활용 도시기반시설 구축
![]() |
▲평택시에서 운행 중인 수소버스 모습. 사진=평택시 제공 |
경기도 평택과 남양주, 충청남도 당진·보령, 전라남도 광양, 경상북도 포항이 수소도시로 조성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23일 국회에서 수소도시 조성사업 2023년 예산 52억5000만원이 확정(안전 및 사업관리 예산 5억원 별도)됨에 따라 올해부터 이들 6개 수소도시 조성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수소도시 조성사업은 수소 에너지원을 공동주택, 건축물, 교통시설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수소생산시설, 이송시설(파이프라인, 튜브 트레일러 등), 활용시설(연료전지 등) 등 도시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2019년부터 울산, 전주·완주, 안산 세 곳을 이미 시범도시로 선정해 수소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이번에 수소도시로 선정된 6곳에는 4년간 400억원(국비 200억원·지방비 2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올해는 국비 52억5000만원과 이에 상응한 지방비 52억5000만원, 총 105억원을 수소도시 조성사업에 투입한다.
지역별 추진하는 전략을 살펴보면 평택시는 평택항 중심의 탄소중립 수소복합지구를 만들기 위해 수소항만, 블루수소 생산 특화단지, 수소 모빌리티 특구를 조성할 예정이다.
남양주시는 3기 신도시 왕숙에 수소도시 인프라를 구축한다. 신도시 내 아파트단지와 청사, 체육문화센터에 수소연료전지를 설치하고 수소버스와 청소차를 도입한다.
당진시에는 국내 최대 석탄화력발전단지와 제철소, 당진항이 있고 LNG 기지도 설치될 예정이라 수소생산·활용 여건이 좋은 곳이다. 주택과 대학교 기숙사, 공공시설에 수소연료전지를 설치하고 역시 수소버스와 청소차를 도입한다.
보령시는 보령LNG터미널과 연계한 세계 최대 블루수소 밸류체인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광양시에는 수소전용 항만터미널을 만들 예정이다.
포항시는 블루밸리산단에 수소연료전지사업 기반시설 구축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제철소, 수소생산시설과 산단을 연결하는 15.4km 수소 배관을 설치할 예정이다.
길병우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그간 시범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부터는 수소도시 조성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수소도시 관련 기술들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뿐 만 아니라 탄소중립사회로의 이행도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