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옥상정원 조성사업비 70% 내 지원
![]() |
▲옥상정원 조성사업 조성 사례(전·후). 사진=서울시 제공 |
서울시는 올해 도심에 옥상정원 10개소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옥상정원 조성사업은 '서울특별시 옥상녹화 지원에 관한 조례'에 서울시가 따라 공공·민간건물에 옥상정원 조성 사업비를 일부 지원해주는 프로젝트다.
2002년부터 시작해 작년까지 총 785개소 건물에 32만8133㎡ 규모 옥상정원을 조성했으며, 막대한 토지매입비를 들이지 않고도 도심 내 녹지를 확충하는 횩과를 거뒀다.
시는 옥상정원 사업지에 대해 매년 모니터링을 실시해 생물상변화, 유지관리 현황, 이용자 설문조사, 온습도 개선 효과 등을 파악하고 있다.
지난해 옥상정원 이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이용만족도에 대해 49% 이상이 '매우 만족', 44% 이상이 '만족'하고 있다고 답하기도 했다. 옥상정원 이용목적으로는 휴게·휴식이 5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업무회의(16%), 자연관찰(15%) 순이었다.
더욱이 폭염기간(7~8월) 옥상정원 사업지 67개소와 인근 건물 등 비녹화지의 온습도를 비교해 측정한 결과 평균 온도차는 -2.41℃, 평균 습도차는 12.37%로 건물옥상의 미기후 개선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올해 사업은 도심 내 부족한 녹지확충을 넘어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하면서도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여가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옥상정원'을 조성하는데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특히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시는 기존 사업 참여의 부담요인이었던 '녹지율 기준'을 조례개정을 통해 80%에서 60%로 완하고, 설계심의를 강화해 수준 높은 정원을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옥상정원 사업은 매년 상반기(5~6월경) 각 건물의 관할 자치구를 통해 신청서를 받고, 하반기(7~12월) 사업대상지 검토와 예산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 후 이듬해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사업비 지원비율은 민간 및 공공기관은 70% 이내, 자치구 건물은 30~70% 이내, 서울시 건물은 100%로 건물안전성, 사업효과, 유지관리계획, 자부담 비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우선순위를 정한다.
이수연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장은 "옥상정원의 확산을 통해 서울의 옥상경관을 매계절, 매시간이 다채로운 '꽃숲'으로 바궈 시민들에게는 편안한 휴식과 다감각적 즐거움을 선사하고, 궁극적으로는 매력적인 서울의 도시경관을 만들어나가겠다"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