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지 공동개발시 준주거지로 용도 상향
![]() |
▲양재택지지구 권역별 계획안. 사진=서울시 제공 |
서울 서초구 양재IC 일대가 연구개발(R&D) 혁신 클러스터로 조성된다.
서울시는 전날 제4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양재택지 지구단위계획 결정안'을 수정가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양재택지 지구단위계획구역은 서울 서초구 양재IC주변 일대 약 300만㎡로, 1980년대 개포택지지구 지정 이후 대규모 유통업무설비과 연구시설이 조성돼 대기업과 중소기업 연구개발(R&D)의 자생적 집적지역으로 성장해온 곳이다.
시는 자연발생적 R&D 기능이 집적된 양재‧우면 일대를 새로운 혁신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해 2016년 양재 테크시티(Tech+City) 등 R&D 육성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이번에 마련된 계획은 실행력을 담보하고 사업을 구체화할 세부 실행전략 수립을 위해 지구단위계획을 재정비하는 것이다.
이번 가결된 지구단위계획에서는 ▲유통업무설비(13개소) ▲도시계획시설 해제 및 연구개발(R&D)용도의 복합개발 유도 ▲대기업 R&D 연구시설의 지속가능한 환경 조성 ▲시민의 숲 역 주변 중소R&D 기업 입지여건 개선 및 배후주거지 역할 강화 등의 계획이 담겼다.
유통업무 설비는 앞으로 세부개발계획 수립 시 R&D시설을 40% 이상 도입하고, 도시계획시설 해제에 따른 공공기여 20%는 연구개발(R&D)지원시설, 교통개선을 위한 기반시설 등을 확충하는 등의 방식으로 추진된다. LG·KT 등의 대규모 연구시설 부지는 특별계획구정으로 지정해 사전협상 대상지 선정을 통해 개발 여건을 마련했다.
시민의숲역 주변은 주거지의 경우 공동개발 시(1000~1500㎡) 준주거까지 용도지역 상향하고, 그동안 블록단위 공동주택 개발 시 있었던 7층 높이 규제를 폐지해 배후주거지 기능을 강화하도록 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통해 이 일대가 미래융합 혁신을 위한 인공지능(AI)산업의 구심점이자 R&D 혁신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