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괄계획단 운영…정책·기술동향 등 정보 상시 제공
![]() |
▲강릉역 미래형 환승센터 시범사업 조감도. 사진=국토부 제공 |
평택지제역과 강릉역, 마산역, 대전역에서 미래형 환승센터 시범사업이 추진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미래형 환승센터 시범사업을 공모한 결과 이들 4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미래형 환승센터는 기존의 철도·버스 연계 환승센터에서 나아가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차, 전기·수소차, 개인형 이동수단(PM( 등 미래 모밀리티까지 연계한 환승센터를 말한다.
국토부는 미래 모밀리티의 상용화 시기에 앞서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3개월간 시범사업 공모를 진행해 왔다. 이 공모에는 총 12개 지자체가 신청했으며, 대광위는 외부전문가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서면평가, 현장실사, 최종평가를 거쳤다.
그 결과 평택지제역과 광릉역은 최우수사업으로, 마산역과 대전역은 우수사업으로 최종 확정됐다.
이에 따라 평택지제역은 경기 남부 광역교통 거점으로 반도체·수소 등 첨단산업 유치등에 따른 교통수요 증가를 고려해 평택지제역을 중심으로 인근 주거·산업단지 등을 연결하는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를 도입할 계획이다.
강릉역은 동해안권 교통과 관광 허브로 관광객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을 확대 하기 위해 환승센터를 구축하고, 2026년 개최되는 ITS 세계총회 등과 연계해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를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마산역은 60초 환승이 가능한 미래형 환승센터를 구축하고 교통광장을시민공간으로 재조성할 계획으로, 환승 편의성 극대화는 물론 도시재생계획과 연계해 구도심 활성화를 꾀한다.
대전역은 전국 광역교통의 핵심 거점으로 선로 상부와 광장을 활용해 미래형 환승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며, 도심융합특구 등과 연계해 균형발전을 촉진하는 광역교통 인프라 기능을 담당할 예정이다.
대광위는 공모제안서를 토대로 미래형 환승센터에 대한 구체적인 기본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선정 지자체에 계획수립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국비 10억원을 이들 지자체에 나눠 교부하면 지자체가 지방비 50%를 매칭하는 식이다.
또, 지자체가 내실 있는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교통·도시계획·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총괄계획단'을 운영해 전문·기술적사항에 대한 자문을 상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UAM, 자율주행차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 대해서는 정책·기술 동향과 서비스 수준 등 필요한 정보를 수시로 공유할 계획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미래형 환승센터는 여러 모빌리티 간 연계환승을 원활히 함으로써 이용객의 환승·편의성을 강화하는 한편, 대중교통중심개발의 핵심 거점으로도 기능할 것"이라며 "앞으로 시범사업 성과를 토대로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의하여미래형 환승센터 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