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및 광역시에 입주 쏠림, 서울은 ‘숨 고르기’
![]() |
▲수도권 아파트 전경<사진=셔터스톡> |
오는 4월부터 전국 총 41개 단지, 2만6,665가구(임대 포함 총 가구수)의 아파트가 집들이를 시작할 예정이다. 2023년 월평균 입주물량인 2만9,742가구를 밑돌지만, 4월 기준으로는 2018년(2만9,841가구) 이후 가장 많은 물량이다.
![]() |
▲<자료제공=부동산R114> |
특히 임대물량이 총 7,875가구(29.5%)로 올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는데, 부산 남구 우암동 ‘e편한세상북항마린브릿지(3,018가구)’ 민간임대 대단지 입주 영향이 크다. 한편 서울은 강북구의 공공임대 268가구를 제외하면 아파트 입주가 없어, 1~3월 대비 물량 부담이 덜할 전망이다.
4월 시도별 아파트 입주물량은 경기(1만1,253가구), 대구(3,498가구), 부산(3,018가구), 대전(1,747가구), 경북(1,717가구) 순이다. 경기는 양주(2,419가구), 화성(1,730가구), 안산(1,714가구), 광주(1,108가구)의 입주물량이 많다. 특히 양주 및 화성시는 지난 1분기(1~3월) 2,000가구 넘게 입주한데 이어 물량이 쏟아지면서 일대 전셋값 약세가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 |
▲<자료제공=부동산R114> |
지방은 대구가 3월 4,085가구 입주, 4월에는 동월 기준 2000년 조사 이래 최다 물량이 집들이에 나서면서 역전세난은 물론 입주 차질 사태로 이어질 우려도 커졌다. 반면 대전은 신축 아파트 희소성이 큰 데다, 올해 입주물량이 광역시에서 가장 적은 수준이어서 공급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할 것으로 보인다.
임차인을 구하지 못하거나 대출이 어려워 입주가 늦어지는 경우 외에, 최근에는 시공사의 공사 지연 및 공사비 갈등으로 입주시기가 밀리는 단지들도 등장하는 모습이다. 4월 예정된 경북 포항시 오천읍 ‘힐스테이트포항(1,717가구)’은 모집공고 상 입주시기가 1월로 예정됐지만 공사 일정이 밀리면서 3개월 지연됐다. 제주 서귀포시 동홍동 ‘캐슬휘닉스더퍼스트(85가구)’의 입주도 3월에서 1개월 미뤄졌다. 입주예정자들은 입주시기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며 지연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출 등 이사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겠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