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상향 효과 확인…청년주택 도입 취지 입증
![]() |
▲청년안심주택 입주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그래프=SH공사 제공 |
[한국건설경제뉴스=이보미 기자] 청년안심주택 입주자들의 전반적인 주거 만족도가 91.5%를 넘어서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청년안심주택 입주자를 대상으로 정책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발표했다.
청년안심주택은 역세권과 간선도로변에 민간 소유 토지를 체계적으로 개발해 청년층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2016년 '서울특별시 청년안심주택(옛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과 시행에 따라 추진됐다.
2020년부터 입주를 시작해 올해 8월 말 기준 55개소 1만8004호가 준공·입주됐으며, 현재 100개소 3만679호가 사업 절차 진행과 공사 중으로 약 5만호가 공급될 예정이다. SH공사는 올해 입주를 완료한 전체 단지를 중심으로 모집단을 설정해 총 3815가구(공공 898가구·민간 2917가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완료했다.
설문은 현재 거주 중인 청년안심주택과 입주하기 전 주거 상황을 비교해 주거 상향, 주거비 부담 등에 관한 사항으로 구성됐으며, 조사 결과 비주택에 거주하던 청년 가구를 청년안심주택으로 주거 상향한 것이 첫 번째 정책 효과로 나타났다.
청년안심주택 입주 전 단독·다가구 및 연립·다세대 비율은 56.9%로, 이들 가구를 주거 환경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공동주택 단지로 주택 유형을 변경한 것이다. 또 입주 전 주택 중 (반)지하, 옥탑 등의 비율이 4.4%로, 비주택에 거주하던 이들을 주거 상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공임대 주택에 입주한 경우 주거비 부담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월소득 대비 주거비 비율(RIR)은 공공임대가 입주 전 35.6%에서 입주 후 26.6%로 9%포인트(p) 개선됐으며, 주관적 주거비 부담에 대한 만족도 역시 공공임대 입주자의 87%가 만족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민간임대의 경우 시세 대비 낮은 수준의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으나 입주 전 다가구, 오피스텔, 다세대 등에 비해 입주 후 시설 여건이 양호한 청년안심주택의 임대료가 다소 증가함에 따라, 조사 대상의 절반 가까이가 주거비 부담이 있다고 답변했다.
청년안심주택 입주 유형은 공공임대와 민간임대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공공임대 23.5%, 민간임대 76.5% 비율로 됐다. 민간임대에 거주하는 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가구당 평균 3540만 원의 임대 보증금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월세로 환산하면 매달 14만8000원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고 SH공사 측은 전했다.
입주자의 80.5%는 청년, 차량 보유 비율은 9.1% 수준으로, 대중교통 지향형 청년 주거 모델이라는 장점도 부각됐다. 조사 결과 통근·통학 거리는 청년의 경우 편도 11.3km, 35.5분, 1910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2021년 조사한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4차 연도)'의 입주 계층이 유사한 행복주택의 통근·통학 시간은 약 40.8분으로, 청년안심주택이 직주 근접에 기여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SH공사는 내 집 마련 필요성과 현재 거주 중인 청년안심주택 우선 매수 의향도 확인했다. 청년안심주택 입주자들의 내 집 마련의 필요성은 96.5%로, 우선 매수 의향은 67.6% 수준으로 조사됐다.
청년안심주택은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공공임대를 제외하고, 민간임대의 경우 임대 의무 기간 종료 후 매각할 수 있다. 임대 기간 만료 후 현재 거주하고 있는 청년안심주택을 임대에서 분양으로 전환할 경우, 면적, 시설, 관리 및 운영 수준을 고려할 때 주변 시세 대비 64.9%까지 지불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 |
▲청년안심주택 입주자 설문조사 결과. 그래픽=SH공사 제공 |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