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매매량은 반토막…거래절벽 '지속'
월세 비중 52%…1년새 8.5%포인트 증가
![]() |
▲인포그래픽=국토부 제공 |
지난해 주택 거래량이 전년 대비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진 가운데 전국 미분양 물량이 정부가 위험선으로 언급한 6만2000가구를 훌쩍 넘겼다.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여파로 주택 거래 절벽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6만8107호로, 전월보다 17.4%(1만80가구) 늘었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정부가 미분양 정한 위험수위를 훌쩍 넘어섰을 뿐 아니라 2013년 8월(6만8119호) 이후 9년 4개월 만에 최대치다.
전국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4월 2만7180가구에서 5월 2만7375가구, 6월 2만7910가구, 7월 3만1284가구, 8월 3만2722가구, 9월 4만1604가구, 10월 4만7217가구, 11월 5만8027가구, 12월 6만8017가구로 8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달 수도권 미분양은 1만1035호로 전월보다 6.4%(662호), 지방 미분양은 5만7072호로 19.8%(9418호) 늘어나 증가 분의 대부분이 지방 물량을 차지하고 있다.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도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작년 12월 말 전국 기준 준공 후 미분양은 7518가구로 전달 7110가구에 비해 5.7%(408가구) 증가했다.
![]() |
▲그래픽=국토부 제공 |
지난해 주택 매매량도 전년과 비교해 절반 가까이 줄었다. 작년 12월까지 누적 주택 매매량은 50만879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01만5171건) 대비 49.9%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수도권이 20만 1714건으로 57.9% 줄었고, 지방은 30만 7076건으로 42.7% 감소했다. 수도권 안에서도 서울 주택 매매량은 5607건으로, 64.8% 줄어들었다.
12월 한 달 기준으로 보면 주택 거래량은 2만8603건으로, 전월(3만220건)보다 5.4% 감소했다. 수도권(1만1127건)은 전월보다 301건(2.6%) 줄어드는데 그쳤으나, 지방이 1만7476건으로 전월보다 1316건(7.0%) 감소하면서 전체 거래량을 끌어내렸다.
다만, 서울의 경우 12월 주택 거래량이 2844건으로 전월(2552건)보다 11.4% 증가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전월 761건으로 2006년 통계 집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12월에는 1001건으로 다섯 달 만에 1000건대를 회복했다.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지난해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83만3522건으로 전년(235만1574건)보다 20.5% 증가했다.
금리 인상과 깡통전세 등 영향으로 월세 계약이 전세보다 늘어나는 추세다.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누계 기준 52.0%로, 1년 새 8.5%포인트 증가했다.
월세 비중은 2020년 40.5%에서 2021년 43.5%으로 늘었고, 지난해 급격히 증가해 50%대를 넘어선 이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주택 경기가 얼어붙으며 지난해 주택 인허가와 착공 모두 저조한 실적을 나타내고 있다. 작년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국 52만1791가구로 전년(54만5412가구)보다 4.3% 감소했다.
공사비 급등과 미분양 증가로 착공 실적은 인허가 실적보다 더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해 전국 주택 착공 실적은 38만3404가구로 전년(58만3737가구)보다 34.3% 급감했다. 수도권이 18만6408가구로 전년보다 37.9% 줄었고, 지방은 19만6996가구로 30.5% 감소했다.
분양 실적 역시 위축된 모습이다. 지난해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전국 28만7624가구로 전년(33만6533가구)보다 14.5% 감소했다. 수도권은 13만5933가구로 전년보다 4.4% 감소하는데 그쳤으나, 미분양 물량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지방은 15만1691가구로 전년보다 22.0% 급감했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