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천 노후계획도시 개발사업지구 위치도 / 인천시 제공 |
[한국건설경제뉴스=박동혁 기자] 인천시가 1980~1990년대 조성된 대규모 택지지구 정비에 개방형 인공지능(AI) 기반 도시 기술을 투입한다. 인공지능 전환(AX)·로봇 전환(RX)·가상 전환(VX)을 결합해 노후 기반시설을 스마트화하고, 정비 과정의 효율과 주민 체감을 동시에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이번 사업은 ‘노후계획도시 특별법’에 따른 정비 대상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시는 올해 말까지 협력 분야와 실증 대상지를 확정하고 기본계획안을 마련한 뒤 주민공람·국토교통부 심의를 거쳐 내년 3월 정비기본계획을 고시할 계획이다. 정비 축은 데이터·로봇·디지털 트윈을 묶은 도시 운영 자동화—안전·교통·환경 서비스 고도화로 요약된다.
인천시는 22일 LG CNS와 ‘노후계획도시 시민체감형 첨단미래도시서비스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LG CNS의 AX(인공지능 전환), RX(로봇 전환), VX(가상 전환) 서비스가 정비사업 전 주기에 적용된다. AX는 교통·에너지·안전 데이터를 통합해 운영을 최적화하고, RX는 순찰·청소·물류 로봇으로 도시 운영의 공백을 줄이며, VX는 디지털 트윈으로 노후 시설의 위험을 사전 진단하고 공사·교통 우회 시나리오를 미리 검증한다.
정비 대상은 연수지구(621만㎡), 구월지구(126만㎡), 계산지구(161만㎡), 부평·갈산·부개지구(161만㎡), 만수1·2·3지구(145만㎡) 등 다섯 권역이다. 보행·주차·스쿨존 등 생활SOC의 병목 개선과 함께, 노후 관망·배수·공원 시설의 단계적 교체가 병행된다.
시는 올해 말까지 AX·RX·VX 적용 분야와 실증 대상지를 구체화한다. 이후 주민공람—도시계획위원회—국토부 심의를 거쳐 내년 3월 정비기본계획 확정·고시를 목표로 한다. 실증 결과는 각 권역의 사업제안서 표준(안전·이동·환경 지표)으로 환류돼 사업 속도와 예측 가능성을 높인다.
도시 운영 대시보드와 생활불편 신고의 원스톱 처리, 로봇 기반 야간 순찰·취약구역 점검, 폭우 시 침수 예측·경보 등 서비스가 우선 검토된다. 공사 단계에서는 디지털 트윈에 기반한 소음·통행 영향 최소화 계획을 사전 공개해 주민 불편을 줄인다.
인천의 ‘AX·RX·VX’ 정비 모델은 노후계획도시를 데이터 기반 운영도시로 전환하려는 시도다. 기술 실증의 속도와 주민 체감 성과가 확보될수록, 정비 사업의 신뢰와 민간 투자 유인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권역별 우선과제를 정밀화해 단계적 확산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