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지주택 피해 최소화 위해 지속 지원할 것"
![]() |
▲지역주택조합 피해상담 지원센터 전경. 사진=서울시 제공 |
[한국건설경제뉴스=이보미 기자] 지역주택조합 피해자를 돕기 위해 서울시가 올해 8월부터 운영한 '지역주택조합 피해상담 지원센터'가 오는 20일 개소 100일을 맞는 가운데 총 170여 건의 피해상담 성과를 냈다.
서울시는 '지역주택조합 피해상담 지원센터'를 통해 대면상담 65건·비대면 전화상담 105건의 상담을 제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상담 사례 중에는 지역주택조합 탈퇴 절차 문의, 납입금 환불 절차 문의가 가장 많았으며, 이밖에도 조합의 부당한 자금운용 의심사례 상담, 정보공개 미이행 시 대응방안에 대한 문의 등이 잇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상담 문의가 있었던 지역은 영등포구(29건)였고, 다음으로 송파구(24건), 동작구(@2건), 광진·은평구(13건) 순이었다. 이밖에 서울 외의 지역의 조합원 상담 문의도 36건 있었다.
상담센터는 매주 화·목요일 오후 1시~5시 서울시청 서소문2청사 6층(중구 서소문동)에서 운영되며, 대면 상담뿐 아니라 전화를 통한 상담도 지원한다. 상담을 통해 지역주택조합 피해 무료 법률상담을 비롯해 사례별 대응 방안 등을 안내받을 수 있다.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조합원은 온라인으로 원하는 상담 일시와 분야, 내용 등을 입력하고 사전 예약한 뒤에 센터를 방문하거나 전화하면 된다. 지역주택조합 피해상담 센터 누리집은 포털 검색창에 ‘지역주택조합', ‘지역조합', ‘지주택 사기', 지역주택조합명 검색 등을 통해 편리하게 접속할 수 있다.
시는 이와 함께 지난 8월 서울시 누리집에 '지역주택조합 정보 안내' 페이지를 신설했으며 서울에서 관리되고 있는 지역주택조합별 사업 추진 현황 등을 상시 공개, 최근 올해 3분기 자료를 새롭게 공개하기도 했다.
이 페이지를 통해서는 지역주택조합 제도절차, 조합원 자격, 피해사례 및 유의사항 등을 안내하고 단계별 추진 일자, 조합원 모집현황, 토지 확보 현황 등 ‘지역주택조합별 추진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실장은 “지역주택조합과 관련한 문제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피해를 본 시민이 편리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상담 지원센터 운영뿐 아니라 실태조사 및 관리 강화 등 조합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