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대차 유형별 서울 아파트 거래 비중 비교표. / 이미지=직방 |
[한국건설경제뉴스=이병훈 기자]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신규 임대차 계약에서 전세 비중은 52%, 월세는 48%로, 전세 우위 구조가 빠르게 무너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 전세 59%, 월세 41%에 비해 큰 폭의 변화다.
특히 동대문·용산·강남·중구 등 주요 지역에서 월세 비중이 전세를 넘어섰다. 전세금 마련 부담 증가와 금융 규제 강화가 월세 선호로 전환되는 배경으로 분석된다.
18일 직방 분석에 따르면, 서울 전세 비중이 지난해 59%에서 52%로, 월세는 41%에서 48%로 각기 7%포인트 변화했다. 결과적으로 전세와 월세의 격차가 18%포인트에서 4%포인트로 좁혀졌다.
동대문구(62%), 강북구(60%), 종로구(59%), 용산구(57%), 금천·중랑·강남·중구(모두 53%) 등에서 월세 비중이 높은 것은, 직장 접근성, 전세금 부담, 신축 아파트 초기 자금 장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6·27 대출 규제와 같은 금융정책이 전세대출 문턱을 높여 월세를 대안으로 선택하게 만드는 환경을 조성했다. 직방은 금리·금융 규제·공급 상황이 흐름 변수를 결정한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