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단지 지정·액화수소 운반선 개발 등 심의
![]() |
▲12대 수소도시 조성계획 개요. 그래픽=국토부 제공 |
[한국건설경제뉴스=이보미 기자] 강원도 동해·삼척과 경상북도 포항이 수소특화단지로 지정됐다. 정부는 생산·유통·활용 등 수소 산업 전반의 생태계 구축과 글로벌 수소경제 선도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1일 서울 세빛섬에서 정부 부처와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위원장인 한덕수 국무총리를 주재로 한 '제7차 수소경제위원회'가 개최됐다고 밝혔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수소특화단지 지정 및 지원 방안, 액화수소 운반선 초격차 선도 전략, 수소도시 2.0 추진전략 등 3개 안건이 상정돼 논의됐다.
우선 수소특화단지로는 수소클러스터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강원 동해·삼척(액화수소 저장·운송), 경북 포항(발전용 연료전지)을 국내에서 처음 지정해 지역별로 특화된 수소기업의 집적을 유도하고 국내 수소산업의 성장을 주도할 핵심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특화단지에 대해서는 수도권 기업의 특화단지 이전시 보조금 우대(2% 가산), 산업용지 수의계약 허용(원칙: 경쟁입찰), 수요-공급기업 간 공동 연구개발(R&D), 개발된 제품의 실증 및 시범보급사업, 인력 양성 등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앞으로 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을 추가 발굴해 특화단지 지정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액화수소 운반선 초격차 선도 전략으로는 글로벌 수소 운송수요 확대에 대비하고, 우리가 기술우위를 가지고 있는 LNG선에 이어 'K-조선산업'의 초격차 경쟁력 확보와 신시장 선점을 위해 부가가치가 높고 파급효과가 큰 대형 액화수소 운반선 기술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액화수소 저장 시스템, 수소를 활용한 추진시스템, 관련 핵심 기자재 등 소재·부품·장비의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2027년까지 실증 선박을 건조하고 2030년까지 육해상 운항을 통해 기술과 안전성을 검증한 후, 2040년까지 스케일업을 통해 대형 운반선 상용화를 추진한다. 또 선제적으로 관련 법령과 제도를 구축하고, 글로벌 표준 선점까지 전 주기에 걸쳐 민관 협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수소도시 2.0 추진전략은 수소시범도시를 통해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도시 전반에 다양한 수소 생태계를 구현해 내기 위한 새로운 수소도시 추진전략을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국토부는 2020년부터 올해까지 울산, 전주·완주, 안산 3곳을 수소시범도시로 지정하고, 수소 생산시설부터 이송을 위한 배관, 활용을 위한 연료전지 등 도시 기반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을 추진해 왔다.
울산은 지난달 25일, 안산은 같은달 29일 수소시범도시조성사업 준공식을 각각 개최했고, 전주·완주도 올해 내 사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러한 수소시범도시사업을 토대로 마련한 내용들을 통해 작년부터는 수소도시 본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3년 6곳, 2024년 3곳, 내년 정부 예산안에 담긴 3곳까지 총 12개 지역에서 수소도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앞으로는 도시 내에 친환경 수소 생산시설을 확대하고 수소연료전지를 산업(산업단지 등)·문화(문화센터 등)·복지(실버타운 등) 등 다양한 건물에 설치하는 한편, 수소트램, 수소트럭 등 수소교통 인프라도 확충해 기존 수소도시를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다.
학덕수 국무총리는 "수소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28)에서 주요 탄소감축 수단으로 인정된 무탄소 에너지원이며, 2050년 세계 시장 규모가 수조 달러로 전망되는 미래 유망산업"이라며 "정부는 위원회에서 의결된 정책들을 속도감있게 추진해 국내 수소산업 전반의 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수소경제를 선도할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