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한국건설경제뉴스=박동혁 기자] 서울·경기 규제지역 확대와 금융 규제 강화가 맞물리며 11월 수도권 분양전망지수가 전월 대비 26.9p 급락한 73.3으로 떨어졌다. 사업자 체감은 비수도권도 71.9(-17.7p)로 둔화했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지난달 20~29일 주택 사업자 설문 결과 11월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72.1로 전월보다 19.4포인트 하락했다고 6일 밝혔다.
지수 100 초과는 낙관, 100 미만은 비관 응답이 우세함을 뜻한다. 특히 수도권 지수는 73.3(-26.9p)으로, 10·15 대책 이후 규제지역 확대와 대출 규제 강화가 체감 전망을 빠르게 식히는 모습이다.
서울은 84.8(-26.3p)로 100을 밑돌지 않았지만 하락 폭이 컸고, 경기 69.7(-27.4p)와 인천 65.2(-27.1p)로 비관 우세 구간으로 밀려났다. 주산연은 “초강력 규제와 보유세 등 추가 세제 논의가 더해지며 매수 심리 위축이 심화됐다”고 해석했다.
비수도권 지수 71.9(-17.7p)로 낙관이 약해졌다. 울산 71.4, 강원 55.6, 충북 55.6 등은 하락 폭이 30p대로 컸다. 수도권 규제 강화와 ‘똘똘한 한 채’ 심리 가속으로 다주택자 비수도권 매도 확대 우려가 하락 전망을 키운 것으로 분석됐다.
분양가격전망지수 100.0(-6.2p),*분양물량전망지수 79.7(-9.7p)로 동반 하락했다. 단기적으로 수요 위축과 신규 착공 감소가 예상된다는 뜻이다. 반면 미분양물량전망지수 98.5(+8.9p)는 상승해, 공급·수요 비대칭과 청약 관망세 확대를 시사한다.
주산연은 “신규 공급 계획의 보수화와 청약 관망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