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한국건설경제뉴스=최대식 기자] 건설업계가 체감하는 경기가 10월 CBSI 66.3(-7.0p)으로 떨어지며 최근 18개월 내 최저를 기록했다. 주택 신규수주 급감과 지방·중소·중견 기업의 체감 악화가 동반되며 업황 냉각이 뚜렷해졌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10월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가 66.3으로 전월 대비 7.0포인트 하락했다고 7일 밝혔다.
CBSI는 100 초과 시 낙관, 100 미만 시 비관 응답이 우세함을 뜻한다. 연구원은 “2024년 5월 지수 개편 이후 18개월 내 최저로, 특히 지방·중소·중견 체감 위축이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신규수주지수가 64.0(-7.3p)로 가파르게 떨어지며 선행 신호가 악화했다. 수주잔고도 68.8(-5.5p)로 감소해 일감 기반 약화가 확인됐고, 공사기성도 73.5(-0.5p)로 소폭 하락했다. 전반적으로 수주→잔고→기성의 하강 전이가 진행 중이다.
공종별 신규수주지수는 주택이 59.5(-14.1p)로 가장 크게 후퇴했다. 비주택건축 64.9(-7.3p), 토목 65.6(-1.2p)도 동반 하락했다. 금리·분양 규제 등 수요 제약과 민간 발주 보수화가 주택 중심 체감 악화로 연결된 모습이다.
대기업은 91.7(±0)로 중립에 근접했지만, 중견은 59.3(-12.1p), 중소는 48.1(-8.9p)로 비관 구간으로 더 내려앉았다. 지역별로 서울 84.8(-3.4p), 지방 53.5(-9.7p) 모두 하락해 수도권/비수도권 체감 격차가 확대됐다.
11월 종합전망지수는 67.4(+1.1p)로 미미한 개선이 예상되지만 여전히 100 미만으로 비관 응답이 많다. 연구원은 재무 여력 차별화와 공공·인프라 발주 가동도가 단기 변수라고 진단했다.
10월 CBSI 급락은 주택 수주 위축과 지방·중소형사 부담 확대가 결합한 결과다. 단기적으로는 보수적 수주·현금흐름 관리, 공공 물량 타깃팅, 원가·금융 리스크 헤지가 필요하다. 선행지표 회복 없이는 업황 반등도 제한적일 전망이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