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국건설경제뉴스=박동혁 기자] 정부가 서울 노원구 하계5단지와 상계마들 단지 등 노후 공공임대주택을 고밀 재건축 방식으로 탈바꿈시켜 공공주택 공급을 확대하는 시범사업을 본격화한다. 두 단지는 내년 초 착공을 거쳐 2029년 재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정부는 2030년까지 수도권에 총 2만3천호의 공공임대 재건축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19일 서울 노원구의 하계5단지(640가구)와 상계마들(170가구)이 고밀도 재건축을 통해 각각 통합공공임대와 장기전세주택으로 재공급된다고 밝혔다. 하계5단지는 1336가구(임대 640가구+장기전세 696가구), 상계마들은 363가구(임대 170가구+장기전세 193가구)로 조성될 계획이다.
이들 단지는 준공 30년이 넘은 노후 영구임대 아파트로, 시범사업으로는 2023년부터 추진됐다. 사업계획 승인을 거쳐 내년 초 착공, 2029년 재입주 일정이 예정돼 있다.
정부는 기존 저층 구조의 노후 공공임대를 도시계획 변경을 통해 종상향하고, 최고 500%의 용적률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공공주택 공급량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한정된 토지에 더 많은 공공임대와 장기전세, 일부 분양 주택을 혼합 공급하는 소셜믹스 구조도 도입된다.
2026년 사업승인이 예정된 노원구 중계1단지는 기존 882가구에서 통합공공주택 882가구와 분양 488가구를 더해 총 1370가구로 재조성될 예정이다. 분양 물량은 시세보다 저렴한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는다.
국토부는 기존 입주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이주 기간 동안 인근 공공임대 공실이나 매입임대주택을 활용한 임시 거주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후 재입주 시에는 임대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연구용역을 통한 적정 수준 산정이 진행된다.
또한, 완공된 단지에 다음 단지의 임대 수요를 수용하는 '릴레이 재정착' 방식도 검토 중이다. 이를 통해 공사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하고 입주민 연속성을 유지하려는 목적이다.
시범단지 외에도 매년 약 3개 단지의 재건축에 착수해, 2030년까지 수도권 내에 약 2만3000호의 공공임대 재건축 주택을 공급한다는 목표다. 가양7단지, 수서주공1단지 등 강서·강남 지역으로도 본사업이 확대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공임대 재건축은 주거 취약계층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수도권 내 주택공급 확대를 통한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