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하반기 착공…2028년 완공 목표

이보미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7 17:08:20
  • -
  • +
  • 인쇄
27일 동부간선지하도로 민간투자사업 협약 체결
월릉교~대치동 12.2km 구간에 '4차로 지하 도로'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영동대로, 재정 4공구) 위치도.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 동부간선도로 월릉교~대치동 12.2km 구간의 지하화 사업이 올 하반기 안에 착공에 들어간다.

 

서울시는 대우건설 컨소시엄을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1단계 사업(월릉~대치 12.2km·왕복 4차로) 가운데 민간투자사업(월릉~삼성) 구간 시행자로 선정하고 27일 실시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시는 2015년 8월 민간투자사업 제안서를 접수받아 한국개발연구원의 민자적격성조사, 우선협상대상자 지정, 실무협상 등을 완료하고, 지난해 12월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번 실시협약을 체결하게 됐다.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은 기존 동부간선도로의 장‧단거리 교통을 분리하기 위해 월릉교~대치동(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 구간에 대심도 4차로 지하도로(터널)을 설치하고, 기존 동부간선도로 구간을 지하화 하는 사업이다. 민자사업 구간과 재정사업 구간으로 나눠 건설이 추진된다.

 

시는 동부간선도로와 영동대로 구간의 교통여건과 시의 재정여건, 사업목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1・2단계로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1단계로 교통개선을 위한 대심도 지하도로(월릉~대치, 12.2km)를 2028년까지 건설하고, 이후 2단계로 기존 동부간선도로 구간(월계~송정, 11.5km)을 지하화한다는 계획이다.

 

1단계 사업 중 '민간투자사업' 구간은 중랑천 및 한강 하저를 통과하는 연장 10.1km의 왕복 4차로 소형차 전용 지하도로다. 재정사업은 영동대교 남단부터 대치동 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까지 연장 2.1km 구간으로, 시비 3348억원이 투입된다.

 

민자사업 구간은 월릉교~영동대교 남단까지 대심도 4차로, 연장 10.1km의 지하도로로 건설될 예정이다. 올 하반기 중 착공해 2028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 재정을 투입하는 영동대로 '재정사업' 구간(삼성~대치)도 지난 2월에 시공사 선정을 완료했으며, 상반기 중 착공해 민자사업 구간과 함께 2028년 동시 개통한다는 계획이다.

 

동부간선지하도로가 완공되면 석관동(월릉교)에서 대치동까지 왕복 4차로로 직접 연결하는 지하도로가 뚫리면서 하루 약 7만여 대의 차량이 지하로 분산돼 지상도로의 차량 정체가 해소될 것이라고 시는 기대하고 있다. 지하화 사업이 완료될 경우, 기존 동부간선도로의 교통량은 일 평균 15만5100대에서 8만7517대로 최대 4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동남~동북권 간 통행시간이 기존 30분대에서 10분대로 단축되고, 동남권 국제교류복합지구의 파급을 동북권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지역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시 측은 설명했다. 

 

시는 1단계 사업(월릉~대치, 12.2km) 완료 후 2단계로 기존 동부간선도로 구간(월계~송정, 11.5km)을 지하화해 단거리 지역교통을 연결하고, 중랑천 생태복원을 통해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이뿐만 아니라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구간이 끝나는 '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부터 '성남강남 고속국도 종점부(일원동 일원터널교차로)' 사이 연결구간 3.0km에 대해 올해 타당성조사를 시행하고, 2028년 민자사업구간과 동시 개통을 목표로 국토교통부와 적극 협력해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최진석 서울시 안전총괄실장은 "동부간선도로 지하화로 상습정체를 해결하고, 동북권과 동남권 간선도로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강남・북 균형발전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동북권 8개구 320만 시민들이 발이 돼 경부고속국도 등과 연결되는 중추적인 교통로가 될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보미 기자 이보미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