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국건설경제뉴스=이병훈 기자] 수도권 지역에서 부동산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며 지난 9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이 전월에 비해 4%포인트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지난달 전국 입주율은 69.4%로 전월 대비 4.1%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79.2%에서 82.5%로 3.3%p 상승, 비수도권인 5대
광역시는 66.2%에서 66.6%로 0.4%p 소폭 상승, 기타 지역은 59.4%에서 66.5%로 7.1%p 대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중 서울은 5.5%p(82.2%→87.7%) 상승했으며 인천·경기권도 2.1%p(77.8%→79.9%) 소폭 상승했다. 이는 스트레스 DSR 2단계 실행, 대출규제 등으로 수요자의 자금조달이 어려워짐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은 종전 분양가가 낮았으며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존재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주산연은 분석했다.
지방은 강원권(58.7%→53.3%) 5.4%p 하락을 제외하고 광주·전라권 7.0%p(61.8%→68.8%), 대구·부산·경상권 6.5%p(60.4%→66.9%), 제주권 3.0%p(64.5%→67.5%), 대전·충청권 2.0%p(65.5%→67.5%) 모두 상승했다. 강
원권은 상대적으로 지역내 총생산(GRDP)이 낮은 지역으로 대출 규제 정책으로 인한 자금조달이 어려워지면서 수요자들이 관망세를 보여 입주율이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미입주 원인으로 분양권 매도 지연(10.6%→0.0%)은 감소한 반면, 기존 주택매각 지연(38.3%→47.2%) 잔금대출 미확보(25.5%→32.1%), 세입자 미확보(17.0%→18.9%) 요인은 크게 증가했다.
최근 대출 규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신축 아파트 선호와 가격 상승 기대감으로 분양권 매도 지연은 대폭 감소한 반면, 기존 주택 매각 지연 요인은 증가해 47.2%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또한 신축 아파트의 높은 전세가로 인해 세입자 미확보 요인 역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