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까지 5000호 공급목표…사회복지시설 함께 조성
![]() |
▲고령자복지주택 개념도. 사진=국토부 제공. |
경기도 광주와 남양주, 강원도 평창, 전라북도 순창, 경상남도 하동 등에 고령자 맞춤형 임대주택이 들어선다.
국토교통부는 '고령자복지주택' 사업제안 공모를 통해 2022년 제2차 사업 대상지로 이들 지역의 총 7곳을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고령자복지주택은 고령자들을 위해 무장애설계가 적용된 임대주택과 함께 요양·돌봄·일자리 등 고령자 맞춤형 주거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시설을 함께 조성하는 사업이다. 2027년까지 총 5000호 공급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이번에 지자체 제안으로 선정된 곳은 경기 광주시 역동(50호), 평창(68호), 순창(50호), 하동(25호), 총 4곳이다. 이들 4곳은 고령화율이 27∼35.9%로 전국 평균(17%)보다 높았다.
경기도 광주 역동 고령자복지주택은 내년에 문을 여는 인근 주거복지센터와 연계해 방문 서비스 등 노인특화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평창, 순창, 하동군은 헬스케어실·물리치료실 등 건강지원실과 노래·스포츠룸 등 취미여가활동실, 어르신 건강 밥집, 교육공간이 함께 들어간다.
한국토지주택공사 제안으로는 남양주 왕숙 S-18블럭(100호), 남양주 왕숙2 A-9블럭(100호), 인천 계양 A-18블럭(100호)이 선정됐다. 이들은 자체와 협의를 통해 어르신 식사지원, 문화예술·건강 프로그램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지자체들은 사업 시행자인 LH와 사업비 분담금 등 구체적인 사항을 협의해 협약을 체결한 뒤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한다. 고령자복지주택 입주 신청은 LH 마이홈센터 누리집에서 가능하다.
김홍목 국토부 주거복지정책관은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이번에 선정된 7곳이 지역에서 주거와 복지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고령자 주거복지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