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크레인 작업기록장치 활용 가능성 확인"
![]() |
| ▲원희룡 국토부 장관(왼쪽)이 11일 서울 송파구 재건축 현장을 방문해 타워크레인 스마트 기술 관련 사항을 보고 받는 모습. 사진=국토부 제공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타워크레인 작업기록장치 도입과 관련해 스마트 기술 적용 사례를 확인하고 도입 의지와 투자 필요성을 내비췄다.
국토교통부는 원희룡 장관이 11일 오후 서울 송파구에 있는 재건축 현장을 방문해 한 건설사가 운영 중인 타워크레인 스마트 기술 적용 사례를 직접 보고 작업기록장치 도입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 현장은 타워크레인의 인양 중량과 풍속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해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곳이다. 관리자는 원격으로 타워크레인 안전 작업 확인을 통해 작업 중단 여부를 판단하고, 일별·월별 분석을 통한 안전 작업계획 수립 등에 활용하고 있다.
원 장관은 이날 "지금까지 타워크레인 사고가 발생해도 당시의 정확한 자료가 없어서 현장 관계자들의 증언에 의존해 사고 원인을 분석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오늘 현장 확인을 통해 안전 작업뿐만 아니라 사고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수립에 작업기록장치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타워크레인은 건설현장에서 가장 무거운 중량물을 다루는 기계로 한순간의 실수가 중대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철저한 관리와 안전을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며 "오늘 확인한 타워크레인 스마트 기술과 같은 모범사례가 확산될 수 있게 정부가 지원하는 것이 첫걸음일 것"이라고 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