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프로모션 진행…중소·한류 경쟁력 확인
![]() |
▲2023 CAST 사업 홍보 이미지. 사진=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제공 |
'2023 한류연계 협업콘텐츠 기획개발 지원(CAST) 사업'이 한국 콘텐츠 외연 대와 국내 중소기업 제품의 해외 수출이라는 성과를 동시에 거두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2023 CAST 사업'에 16개 기업과 한류 지식재산권(IP)이 참여한 가운데, 7개 글로벌 프로모션을 통해 유럽 현지에서 상시 판매를 확정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고 15일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진흥원이 주관하는 CAST 사업은 국내 중소기업과 한류 콘텐츠를 연계해 제품의 기획·개발부터 홍보, 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새로운 가치 창출을 돕는 프로젝트다.
작년에는 패션, 뷰티, 리빙&라이프 분야에서 IP 매칭형과 자율형,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매칭형에는 9개 기업과 한류 IP가, 자율형에는 7곳 기업과 한류IP가 협업해 총 16개 기업과 IP가 참여했다.
매칭형에 참여한 기업과 한류 IP는 ▲에이더 & 케이팝 그룹 엔믹스(NMIXX) ▲빌라에르바티움 & 케이팝 그룹 에이비식스(AB6IX) ▲뉴트리어드바이저 & 케이팝 그룹 유나이트(YOUNITE) ▲보앤봉 & 케이팝 그룹 트라이비(TRI.BE) ▲디팩코퍼레이션 & 케이팝 그룹 빌리(Billlie) ▲큐앤코 & 모델 정혁 ▲이스트엔드 & 모델 박제니 ▲돌실나이 & 모델 태이 ▲BUHEE & 배우 정일우 등이다.
자율형에는 ▲씨앤보코 & 모델 박세정·하나령 ▲알비이엔씨 & 배우 설인아 ▲모스포츠 & 케이팝 댄스그룹 원밀리언 ▲리비저너리 & 케이팝 그룹 픽시(PIXY) ▲피텐 & 일러스트 토리양 ▲젬블로컴퍼니 & PUBG: 배틀그라운드 ▲맵씨 & 일러스트레이터 그림비(grimb) 등이 함께했다.
이들은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한류 관심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B2B(기업간거래) 박람회와 팝업스토어, B2C(거업과 소비자간거래) 이벤트 등 총 7개 글로벌 프로모션을 진행했고, 그 과정에서 다채로운 성과를 냈다.
우선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지난해 11월 1일부터 5일까지 열린 국내 최대 디자인산업 박람회 '디자인 코리아 2023'에서는 CAST 사업 참여 기업 제품을 소개했다. 행사 기간에는 약 3억원의 상담거래액을 오렸고, 3개년 추정 최종 상담액은 100억원을 넘겼다.
이어 '파리 메종&오브제 박람회 2023'에 마련된 CAST 부스에서는 패션·뷰티·라이프스타일 상품을 'CAST 하우스'라는 콘셉트로 구성했고, 여기에는 개최국인 프랑스를 비롯해 영국 이탈리아 등 22개국 바이어가 찾아 성황을 이뤘다.
영국 런던에서는 지난해 10월 21일부터 11월 17일까지 쇼핑 중심지인 쇼디치 지역 내 '75 REDCHURCH'와 'MK2UK'에서 팝업스토어를 열어 관심을 모았다. 특히 이 팝업 프로모션 기잔 중 판매가 많았던 알비이앤씨(마르헨제이), 이스트앤드(시티브리즈), 부희(BUHEE), 빌라에르바티움 등의 기업은 상시 판매확정으로 본격적인 유럽 진출이 성사되기도 했다.
대만에서는 지난해 11월 16~19일 12개국의 오프라인 편집숍 및 온라인 커머스를 운영 중인 '25TOGO'를 통해 팝업스토어를 운영했고, 프로모션 기간 중 약 5억7000만원의 상담거래액을 기록했다. 행사 오프닝파티에는 모델 박제니와 정혁, 태이, 배우 정일우 등이 직접 참석해 자리를 빛내기도 했다.
또 태국에서는 지난해 11월 11일 12일 양일간 'CAST를 통한 한류의 확산 가능성'을 테마로, 패션 분야 8개사, 뷰티 분야 4개사, 리빙 및 라이프 분야 4개사 등 모두 16개사가 참여한 가운데 다양한 행사를 통해 현지인들을 만났다.
배우 정일우는 "굉장히 재밌는 작업이었고 또 앞으로도 이런 사업이 대중에게 많이 알려졌으면 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모델 정혁도 "우리와 함께한 중소기업을 알리고 이를 통해 상생하는 부분도 좋았고, 머릿속으로 구상하였던 부분을 현실로 만들 수 있는 사업이기에 흥미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길화 진흥원 원장은 "이번 CAST사업을 통해 유의미한 글로벌적 성과를 달성했으며, 한류 콘텐츠 통한 국내 중소기업들의 해외 진출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단계별 전문 컨설팅 및 홍보, 유통 등 다방면에 걸친 지원을 통해 소비재 생산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AST 사업과 상품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2023 CAST 사업' 공식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