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국건설경제뉴스=이병훈 기자] 대통령 선거로 인한 불확실성 해소 등에 대한 기대감으로 전국 아파트 분양 전망 지수가 6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지난달 16∼27일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5월 전국 아파트 분양 전망 지수가 9.3포인트 상승한 93.3으로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분양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사업자가 더 많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 상황이라는 의미다.
이번 달 지수는 지난해 11월(98.2)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수도권(99.7→107.1)과 비수도권(80.6→90.3)이 각각 7.4포인트와 9.7포인트 올랐다.
수도권에서는 서울(108.3→122.2, 13.9p), 경기(97.3→102.8, 5.5p), 인천(93.3→96.4, 3.1p) 모두 상승 전망됐다.
비수도권에서는 충북 33.3p(66.7→100.0), 세종 29.7p(84.6→ 114.3), 전북 18.2p(81.8→100.0), 충남 15.4p(92.3→107.7), 전남 10.9p(58.3→69.2), 강원 10.0p(70.0→80.0), 대구 8.3p(70.0→78.3), 경남 7.2p(85.7→92.9), 울산 6.7p(93.3→100.0), 광주 6.3p(75.0→81.3), 경북 4.6p(80.0→84.6) 상승 전망됐다.
반면 부산은 6.0p(95.5→89.5), 제주 8.3p(75.0→66.7)는 하락전망됐고, 대전은 전월과 동일하게 전망됐다.
수도권 뿐 아니라 전국 대부분 지역의 아파트분양전망지수가 상승 전망돼 2024년 11월 이후 최고치로 나타났다. 이는 금리 인하 기대감과 트럼프 발 관세 전쟁 조기종식 가능성 상승과 더불어 탄핵 사태 종결에 따른 정국 안정과 새 정부 출발과 관련한 기대감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다만 6월 초 대선을 앞두고 재건축 특례법, 공공주택 특별법 개정안, 민간 임대주택법 개정안 등 추진 중이던 부동산 공급 확대를 위한 입법 논의들이 지연되고 대선 결과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