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국건설경제뉴스=박동혁 기자] 주택 사업자들이 보는 서울의 사업 경기 전망이 7개월만에 반등했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번달 서울의 주택 사업 경기 전망 지수는 전월보다 0.8포인트 상승한 74.0으로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지수가 100을 밑돌면 경기를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사업자가 더 많다는 의미다. 100을 웃돌면 그 반대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소폭 상승했다.
수도권은 0.9p 상승한 65.4로 전망됐다. 서울은 3.4p(75.6→79.0) 상승했고, 경기는 1.7p(58.8→60.5) 상승했으나, 인천은 2.6p(59.2→56.6) 하락했다.
서울은 지난달 강남 구 토지거래허가제가 해제되면서 매매심리 회복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기준금리도 인하되면서 사업자들의 심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인천은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기준 작년 10월 이후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는 등 주택시장 침체가 장기화 됨에 따라 사업경기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비수도권은 광역시를 중심으로 지수가 상승하면서 0.8p 상승한 75.9로 전망됐다.
광역시는 4.8p 상승한 73.0으로 전망됐고, 도지역은 2.3p 하락한 78.0으로 전망됐다. 비수도권에서 대전이 27.5p로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고, 전북이 15.2p로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광역시는 대전 27.5p(66.6→94.1), 울산 6.3p(64.2→70.5), 세종 4.0p(69.2→73.3), 부산 3.5p(63.1→66.6), 대구 2.3p(72.7→75.0) 순으로 상승했고, 광주만 14.5p(73.3→58.8) 하락했다.
도지역은 충남 15.1p(77.7→92.8), 경남 3.6p(71.4→75.0), 충북 1.3p(87.5→ 88.8) 순으로 상승했고, 강원은 전월과 동일하게 전망됐다.
지난 1월 지방 대출규제 완화 및 지난달 LH 비수도권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매입 등 정부의 지방 주택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사업자들의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대전은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이 선정되면서 대규모 개발사업이 확정됨에 따라 지역 사업경기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전북 및 광주는 올해 들어 주택매매거래량이 감소했고 아파트 매매가격도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 1월 기준 전년 동월대비 착공물량이 감소했고, 특히 전북은 인허가 물량도 크게 감소하는 등 주택시장의 침체가 장기화됨에 따라 사업자들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